카테고리 없음
심장마비 원인
간호지식제작소
2022. 2. 4. 02:43
728x90
심장마비는 혈류의 순환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심장정지는 심장의 오작동하여 심장이 순간적으로 멈추는 현상이다.
심장 수축력이 감소하거나 동맥이 막혀 공급되지 않는 심근경색, 동맥경화나 또한 심장의 펌프 기능이 악화되는 심부전이 원인이다.
또한 부정맥이 문제가 된다. 통상 5분을 넘어가면 생존률이 급감하며 심폐소생술을 신속히 해야 한다.
관상동맥질환으로 심장마비가 생기고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혈류로 유입된 박테리아가 심장판막에 기생하여 감염(염증)시켜 판막이 제대로 열리고 닫히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러면 피의 흐름이 막히거나 피가 거꾸로 흐를 수 있다.
우리나라 판막 질환의 원인 중 흔하게 류마티스열이라는 일종의 세균 감염의 후유증으로서, 빈도가 줄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존재한다. 증상은 빠른 심박수, 고열, 호흡곤란, 흉통, 피로, 심부전 증상을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