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부종의 종류

간호지식제작소 2022. 2. 4. 02:43
728x90

부종이란 세포외액의 간질액(세포외액의 75% 차지)이 증가한 상태를 말한다.

부종은 기전이나 원인, 부종의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데 염증성 부종은 염증에 의해 혈관투과성이 증가하여 삼출액이 조직 내 저류하는 현상이다.

교질삼투성 부종은 염증없이 삼투압과 정수압의 변동으로 일어난다.

염증성 부종은 국소부종으로 급성염증→모세혈관의 투과성이 항진→혈관확장에 의해 정수압 증가→국소적인 삼출액→부종으로 진행된다.

교질 삼투성 부종은 모세혈관 사이에서 혈역학적 힘과 림프액의 관류사이에 균형이 깨질 때 일어나는데 모세혈관의 정수압 증가, 혈장의 교질삼투압이 감소→모세혈관에서 간질로 수분이동→신장에서 소디움 저류 발생→전신부종이 발생한다.

모세혈관 정수압이 증가하는 이유는 정맥 내 혈전이 생기거나 울혈성 심부전증, 협착성 심낭염, 소금의 과잉섭취 등이 있다.

혈장의 교질삼투압이 감소하는 이유는 혈장 단백질 숭에서 알부민의 합성이 안 되거나 손실이 날 때인데 간경화나 간질환시 나타난다.

교질 삼투성 부종은 신장질환이 있을 때 발생하며 하지 부종이 특징이다. 특히 간질 조직압이 낮은 부위에서 잘 발생한다. 눈 주위에 먼저 부종이 나타나고 복수나 늑막액 저류를 동반한다.

#부종 #교질삼투압 #염증성 부종 #혈장 #신장질환 #복수 #삼출액 #전신부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