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절 호르몬 종류

간호지식제작소 2022. 3. 25. 05:37
728x90

adrenocorticotropic hormone(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어 단백성 호르몬이다. 부신의 바깥쪽을 이루는 피질에서는 여러가지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한다.

aldosterone 알도스테론

콩팥 위에 있는 작은 삼각형의 기관인 부신의 겉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체내의 물과 전해질의 균형에 기여한다

androgen 안드로겐(남성호르몬)

남성 호르몬(male (sex) hormone) 또는 안드로젠(androgen, 안드로겐)은 남성의 정소(고환)에서 상당량 생성되는 성 호르몬(sex hormone)의 총칭이다. 안드로겐(androgen) 또는 안드로젠은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내는 모든 물질을 일컫는 말이다.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모두 총칭하여 남성호르몬이라고 한다.

antidiuretic hormone 항이뇨호르몬

신장이 흡수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체내에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것을 도와준다. ADH는 보통 혈액 삼투질 농도가 증가하거나 혈량이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에 반응하여 뇌하수체에서 분비됩니다. 신장은 물을 저장하고 더 농축된 소변을 만들어냄으로써 ADH에 반응한다.

catecholamine 카테콜라민

교감신경의 작용을 항진시킬 수가 있는 일련의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에는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이 있다.

cortisol 코르티솔

콩팥위에 존재하는 삼각뿔 모양의 부신피질에서 만들어지는 물질로 지방질, 당질, 단백질의 대사에 관계하는 호르몬

glucocorticoid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콩팥위에 존재하는 삼각뿔의 형태를 지닌 기관인 부신의 피질에서 만들어지는 물질로 호르몬의 일종. 지방질과 단백질을 분해하여서 당질을 만드는 역할을 하고 또 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당질을 혈액속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growth hormone 성장호르몬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중 하나로서 시상하부의 성장호르몬방출 호르몬에 의해 분비가 자극되며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 이자에서 분비되며, 성장호르몬에 반대되는 작용을 함)에 의해 분비가 억제된다.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은 도파민(dopamine)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성장 호르몬은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 합성을 항진시키고 에너지는 지방을 이용하여 얻게하므로 지방이용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성장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거인증, 말단비대증이 유발되며 성장 호르몬이 결핍되면 성장부진이 온다.

luteinizing hormone 황체형성호르몬

여성의 월경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먼저 난포자극호르몬이 뇌에서 분비되어 여성의 난소를 자극하게 되면 난포가 자극받아 난포호르몬(에스트로젠)을 분비하게 되고 이것은 다시 되먹이기 메커니즘 의해 뇌에 작용을 하여 황체화호르몬이 뇌에서 분비되고 이것이 이른바 절정에 이르렀을 때, 난포에서 배란이 일어나게 된다. 이후 난포는 황체로 변하게 되며, 배란된 난자가 수정되지 아니하면, 황체는 황체호르몬(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한 뒤 퇴화되고 곧 이어 월경이 일어나게 된다. 이 일은 정상적인 대부분의 여성에서 28일을 주기로 일어나며, 대개 황체화호르몬 절정 이후 마지막은 14일로 일정하다고 한다.

mineralocorticoid 광물부신피질호르몬

부신겉질에서 나오는 호르몬중의 하나. 이 호르몬은 사람의 광염(또는 전해질: mineral salts, or electrolytes)의 양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다. 이들은 체내에 존재하는 물과 이온양을 조절함으로써, 이른바 적당한 체내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중 가장 중요한 호르몬은 알도스테론으로 기능은, 콩팥에서 나트륨의 흡수를 증가시키고, 칼륨의 배설을 촉진함으써 체내 수분의 양을 조절한다.

oxytocin 옥시토신

뇌의 신경뇌하수체에서 분비된다. 자궁의 수축작용을 유발하므로, 출산시에 많이 분비되어 아기가 잘 나올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출산후 유방에 작용하여 젖이 나오도록, 젖샘주위의 근육을 수축하는 역할도 한다.

parathyroid hormone(PTH) 부갑상선호르몬

뼈에서 칼슘을 흡수하고, 신장에서 칼슘 배출을 억제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조절한다.. 또한 신장에서 인(P)과 중탄산이온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비타민D 생산을 증가시켜 장을 통한 칼슘 흡수를 촉진시킨다.

prolactin 프로락틱, 젖분비호르몬

젖의 생성과 분비를 일으키는 프로락틴은 임신 약 5주 후부터 분비가 일기 시작하여 임신 말에 분비는 최고도에 달한다. 임신 중 프로락틴분비가 현저하게 높은데도 젖분비가 초래되지 않는 것은 이 때 태반에서 다량으로 분비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젖 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분만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면 젖이 분비된다. 그 외 프로락틴은 남성에 있어서는 황체화 호르몬의 남성호르몬 분비를 자극한다.

Thyroid-releasing hormone(TRH) 갑상샘방출호르몬

시상하부의 부산물이며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TRH는 갑상선 호르몬(T3, T4)의 혈중 수치가 낮을 때 시상하부에 의해 생성된다.

Thyroid-stimulating hormone(TSH) 갑상샘자극호르몬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며 갑상선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갑상샘 자극 호르몬의 영향을 받은 갑상샘에서는 갑상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인 티록신의 분비가 촉진된다.

tropic hormone 영양호르몬

뇌하수체의 전엽의 호르몬으로 다른 내분비샘의 성장, 영양 또는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