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빈혈의 원인, 기전, 진단

728x90

빈혈의 증상은 창백, 숨가쁨, 피로감.

빈혈의 주증상은 피로감인데 적혈구의 혈색소에 함유되어 있는 철분이 부족하면 철결핍성 빈혈이다. 철결핍성 빈혈은 적혈구가 몸에서 빠져나가서 출혈이 발생하는 빈혈이다.

혈액검사에서 남성의 헤모글로빈 수치가 13 g/dL 미만이면 빈혈로 판정한다.

 

원인은 편식이나 과도한 식이 조절, 소식, 위 십이지장 궤양, 염증성 장 질환, 치질, 암, 아스피린 복용 등에 의한 소화관 출혈 등 이다.

 

철결핍성 빈혈은 혈색소의 구성요소인 철분이 부족하여 혈색소 합성이 되지 않아 일어난다. 여성의 경우에는 월경과다가 원인이다.

혈변이 나올수 있는데 빈혈외에도 혈변은 치질, 치핵을 의심해볼 수 있다. 급성장염 일때도 잠혈이 있을 수 있으며, 대장암도 혈변이 나온다.

 

빈혈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평균적혈구용적(MCV) 감소, MCH 감소, RDW 증가 →철결핍성 빈혈

MCV 정상, RDW 증가→철결핍성 빈혈 초기, 이상혈색소증

MCV 감소, MCH 감소 RDW 정상→Thalassemia,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

MCV 정상, RDW 정상→급성실혈, 유전성 구상적혈구증, 만성질환에 의한 빈혈

MCV 증가, RDW 증가→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증, 간질환

MCV 증가, RDW 정상→재생불량성 빈혈

 

그 외에 말초혈액 검사, 망상적혈구수를 조사한다. 철결핍성 빈혈이 의심될 경우 혈청철 감소, Total iron-binding capacity(TIBC) 증가, Iron saturation < 15%이다. 추가로 골수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빈혈, #잠혈 #적혈구 #혈변 #헤모글로빈 #평균적혈구용적 #대장암 #철겹핍성 빈혈 #혈액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