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의식 환자 응급간호
무의식 : 행동불가, 주변상황 인지 불가. 원인은 대사성, 저산소성, 구조적, 중독성 무의식
혼미 : 약간의 의식은 있으나 지남력이 없음
혼수: 완전히 의식이 없고 반사작용 없음, 자극에 무반응
실신: 뇌에 혈약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잠깐동안 의식이 소실
2. 응급간호
- 기도유지
- 경추손상 유의. 경부고정기 유지
- 옆으로 눕혀 고개를 돌린다
- 동맥혈 가스분석
- 심전도
- 혈당측정
- 옷을 느슨하게
- 환자를 따뜻하게
3. 외상환자 응급간호
교통사고시 사정사항: 운전자/보행자 유무, 차의 속력, 환자구출시간 등
총상: 총기종류, 사거리 등
자상: 상해거리,성별, 가해자으 키, 칼의 종류 등
추락사고: 추락의 원인, 추락된 바닥
4. 손상시 침범균의 종류
웰치균 또는 가스괴저균 :잠복기 1-6일, 작은 상처를 통하여 균이 침범. 심한통증, 말단부위는 차가워지거나 붓는다.
치료는 수혈이나 수액을 공급하고 페니실린을 사용
파상풍균 : 잠복기 24시간-1개월, 적혈구와 백혈구를 용해시켜 식균작용을 방해, 국소조직의 괴사. 두통, 근육통, 경련이 일어나고 턱 개구장애가 생긴다. 치료는 미다졸앰 5-15 mg/hr, 로라제팜 2mg 정맥주사, 디아제팜 5mg 정맥주사하여 근육을 이완, 면역글로블린 500 IU을 근육주사 한다.
보톨리즘 : 연조직이나 외상이나 피부손상시 나타남. 아포를 형성하는 혐기성균. 회복은 늦고 장기입원
5. 열손상
심박동수 상승으로 빈맥이 나타남
뇌의 혈류량이 감소하고 두통, 현기증이 나고 전해질이ㅣ 소실되면 근경련과 탈수현상이 나타남
열성경련 : 나트륨 과다소실이므로 염분을 함유한 수액을 공급
열성피로: 환자를 시원한 곧으로 이동 염분을 함유한 수액을 공급
열사병과 일사병 : 찬물 수건으로 체온을 하강시킨디.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
6. 냉손상
동상: 40C 미온수에 동상부위를 20-30분간 담근다. 혈관확장제나 신경차단제를 투여하여 말초혈관을 이완시킨다.
저체온증: 심폐소생술 실시
7. 약물중독으로 인한 증상과 징후
8. 피부중독
피부에 접촉된 약물을 흐르는 물에 씻어낸다
9. 교상환자
벌:
침은 손으로 잡지 않고 얇은 핀으로 제거한다.
20분간 얼음찜질
필요시 경한 아스피린이나 아세트아미노펜을 사용
뱀:
종창, 근경련, 근섬유속연축이 일어난다.
상처부의의 상부를 넓은 끈으로 묶는다. 동맥혈류는 유지하고 정맥혈류는 차단
상처부위를 씻고 칼로 절개한 후 독을 흡인해낸다.(물린지 20분내)
통증감소를 위해 코데인, 아스필린(경증), 데메롤(중증)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