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맥주사 IV 부작용

728x90

1. 국소감염

주사바늘에 세균이 들어간 경우

오한,열, 통증, 종차으 화농 등이 발생할 경우 감염부위를 냉습포

무균술을 실시하고 수액세트를 교환한다.

2. 정맥염(phlebitis)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원인은 천자기술 부족, 삽입부위 오염, 카테터 고정이 잘못될때 생김

증상은 통증, 압통, 피부색 변색, 혈관경결이 생긴다.

수액의 산도나 주입기간, 주입속도, 주입량이 영향을 미친다.

정맥염이 발생하는 주입부위를 교체하고 약물을 중지한다. 마사지를 하면 안됨

3. 침윤(infiltration)

수액이 혈관으로 주입안되고 밖으로 새는 것으로 부종과 통증이 발생한다.

너무 많이 누출되면 신경손상이 일어난다.

특히 고장성 용액, 칼슘재, 혈관수축제, 항암제 사용시 침윤이 많이 일어난다.

침윤이 생기면 천자부위를 변경한 후 주입하고 침윤부위를 높이고 냉습포를 한다.

4. 일혈(extravasation)

약물이 혈관 주위 조직으로 스며들어 조직괴사가 일어나는 것으로

잘못된 경로를 선택했거나 정맥보다 큰 카테터를 사용한 경우이다.

붓거나 창백해지고 발작, 통증이 일어난다.

이때에는 카테터를 제거허고 조직생성을 해야 한다.

5. 혈종형성

주사바늘 삽입시나 제거시 혈관벽이 손상됨. 삽입 부위에 혈액이 고이고 변색됨

6. 쇼크

주입속도가 빠를때 일어난다. 두통, 현기증, 빈맥

7. 색전증(embolism)

폐나 심장으로 공기가 들어가 혈관을 차단하는 것으로

수액연결부분을 잘못고정하거나 카테터가 손상된 경우이다.

저혈압, 호흡곤란, 청색증이 일어난다.

이때에는 머리부분을 낮추고 좌측위를 한다.

8. 폐혈증

병원균이 혈류에 들어가는 것으로 무균술 실패

홍반, 경결, 화농, 전신증상, 심할경우 사망한다.

 

​- 국소감염: 주사바늘 삽입부위 세균침범

- 정맥염: 정맥에 염증. 혈전형성

- 침윤: 수액이 혈관주위 조직으로 새어나감

- 일혈: 주사약물이 혈관주위조직으로 스며듬

- 혈종형성: 혈관벽 손상

- 색전증: 순환계로 이물질, 혈관차단

- 폐혈증: 병원균이 혈류로 침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