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화기계 기능

728x90

1. 위장관의 주요 활동

 

연하를 위해 구강에서 음식물을 잘게 부수는 저작 기능을 한다.

위에서 음식물을 저장한다.

대장에서 수분, 요소, 전해질 흡수를 완료한다.

 

2. 구강의 기능

저작

타액 분비

연하

 

3. 연하 과정

 

저작으로 음식물이 잘게 부수어지고 혀가 음식물을 입안으로 밀어 넣는다.

음식물이 인두를 지나 식도로 넘어가게 된다.

음식물이 식도를 통하여 위로 운반된다.

 

4. 식도의 기능

 

점액을 분비해 음식물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5. 위의 기능

 

음식물 저장

위액과 혼합, 유미즙 상태로 만들어 십이지장으로 배출

단백질 분해 시작됨

아밀라아제가 산에 의해 불활성화 될 때까지 탄수화물 소화가 됨

지방소화가 거의 안됨

물, 알코올, 포도당, 일부 약물 흡수

 

6. 십이지장

십이지장에서 호르몬인 secretin과 cholecystokinin(CCK)을 분비한다.

secretin은 췌장액,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CCK는 secretin, 담즙 분비를 촉진한다.

위로부터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물을 저장하고 영양분을 흡수하기 시작한다.

간에서 만들어져 모인 쓸개즙과 췌장에서 분비되는 이자액을 이용하여 체내에 흡수하기에 가장 적합한 혼합물로 소화시키는 과정을 담당하고, 이 과정을 통해 탄수화물은 단당류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지방은 글리세롤과 지방산으로 분해된다.

쓸개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고 이자액은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트립신 효소 모두가 있어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 모두의 소화를 돕는다.

 

7. 공장

포도당, 수용성 비타민, 단백질, 지방, 철분을 흡수한다.

 

8. 회장

담즙산염을 흡수하고 내인인자와 결합해 비타민 B12를 흡수한다.

 

9. 맹장

소장에서 소화와 흡수가 끝난 뒤 음식물에 남아있는 수분과 염분을 흡수하고 점액과 내용물을 섞어준다.

10. 결장

분변을 형성, 보관, 배출한다.

11. 직장과 항문

변이 증가하여 변의가 뇌로 전달되면 복압을 상승시켜 배변을 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