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쇼크의 변화

728x90

1. 부신반응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트린이 분비되어 호흡수, 심박동수, 혈압을 상승시켜 주요기관으로의 혈류량은 증가되고 말초조직으로의 혈류량은 감소된다.

코르티코이드 호르몬 : 부신피질에서 분비, 혈관내 수분량 증가

알도스테론 호르몬 : 염분보유에 필요. 쇼크동안 수분과 염분 정체가 일어나 소변감소가 되면서 혈류량 증가, 심박출량과 혈압을 상승시킨다.

2. 뇌하수체 반응

수분과 염분의 균형을 조절하는 호르몬 :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알도스테론, 항이뇨호르몬

항이뇨호르몬 분비 --> 수분정체 -->혈액량증가 --> 핍뇨

알도스테론 증가 --> 염분정체 증가 --> 수분정체 --> 혈액량 증가-->핍뇨

알도스테론 증가 --> 앤지오테신 분비 --> 혈관수축

3. 대사반응

4. 면역계 변화

쇼트동안 장으로 공급되는 혈액이 감소되어 장기능 저하, 박테리아가 혈류로 유입

5. 간기능

쇼크동안 간과 내장은 순환부전으로 손상되고 독성물질을 분비한다.

무산소 간은 대사장애를 일으키고 독성물질을 분비한다.

망상내피계의 방어작용 부전으로 세균성 내독서가 분비되어 미세순환을 파괴한다.

6. 위장계 기능

장의 점막하 조직이 허혈상태가 된다.

울혈에 이어 조직이 괴사되고 장 점막의 통합성이 상실됨

혈관수축과 조직 무산소증으로 인하여 장조직이 파괴됨

7. 요생산과 순환

콩팥에서 정상적으로 배설하는 소변량은 60mL/시간

체액이 부족하면 요 생산량이 줄어들고 나중엔 무뇨상태가 될수 있다.

무뇨상태가 되면 콩팥기능이 상실된다.

8. 모세혈관압과 사구체 여과

여러 모세혈관 중 콩팥의 모세혈관압이 가장 높다.

쇼크동안 혈압이 감소할수록 사구체 여과율이 감소한다.

콩팥을 통해 수분과 나트륨 배설이 안되면 전해질 기능을 상실

세뇨관 괴사가 온다.

9. 호흡수 변화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이 저하되고 탄산가스 농도가 높아지면서 빠르고 얕은 호흡

10. 맥박변화

교감신경 자극으로 심박동수 증가

11. 혈압변화

혈압과 심박동수는 역상관 관계를 갖는다.

쇼크에서는 이완기보다는 수축기압이 하강되고 맥압이 떨어진다.

이완기 혈압은 60-70 mmHg가 되어야 관상동맥의 혈액순환이 유지된다.

12. 체온

쇼크가 심해지면 체온이 하강한다.

13. 피부변화

외상성, 출혈성 쇼크 : 창백, 청색증, 정맥혈관의 팽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