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족 생활주기 8단계

728x90

가족 생활주기의 8단계

 

1 단계: 신혼부부 가족의 관심사

• 가족계획

• 임신기 관리

• 부모가 되는 교육

모유수유

 

2단계: 자녀출산 및 영아기 가족

 

• 임신, 자녀 양육문제에 대한 배우자간의 동의

• 부부로서의 친밀한 관계 유지

• 출산 경험

• 육아

• 예방접종

• 가족계획

3단계: 유아기 가족

• 자녀들의 사회화 교육 및 영양관리

• 안정된 결혼 관계의 유지

• 자녀와의 관계대처

• 확대되는 가족을 위한 공간, 비용 충족하기

• 자녀의 전염병

• 사고예방과 가정의 안전

• 결혼관계, 형제관계

 

4단계: 아동기 가족

• 자녀들의 사회화

• 학업성취의 증진

• 만족스런 부부관계의 유지

• 가족 내 규칙과 규범의 확립

• 자녀 건강문제(시력, 청력, 언어)

• 구강건강

• 아동학대와 방치

• 약물남용

• 전염병

• 만성병

• 행동문제

 

5단계: 청년기 가족

 

• 안정된 결혼관계 유지

• 자녀들의 성문제 대처

• 직업(수입)의 안정화

• 청년기 자녀와 성인 사이의 의사소통 중재

• 세대간의 충돌 대처

• 자녀의 출가에 대처

• 사고(운전)

• 운동부상

• 약물과 알코올 오용

• 성교육

 

6단계: 독립기(진수기) 가족

• 부부관계의 재조정

• 가정의 물리적 설비와 자원 재배치

• 늙어가는 부모들을 지지

• • 자녀 결혼을 통한 가족범위 확대

• 부모와 젊은 성인간의 대화 문제

• 만성적인 건강문제의 출현

• 젊은 성인을 위한 가족계획

• 갱년기 관심사

• 생활습관(음주, 흡연, 식이 등)관련 효과

 

7단계: 중년기 가족

• 새로운 흥미의 개발과 참여

• 경제적 풍요

• 출가한 자녀 가족과의 유대관계 유지

• 은퇴에 적응하기

• 쇠퇴하는 신체적, 정신적 기술에 대처

 

8단계:노년기 가족

• 건강문제에 대한 대처

• 사회적 지위 및 경제적 감소의 대처

• 배우자 상실, 권위의 이양, 의존과 독립의 전환

• 계속되는 노화과정에 적응

• 자녀들과의 관계 재정립

• 만성질환

• 체력과 기능의 감소

• 장기적 보살핌 서비스

• 보살핌 제공

• 사회적 격리

• 슬픔/우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