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호사정 수술간호 연습문제

728x90

1. 마취 부위가 아닌 곳은?

척추

미추

신경

동맥내부위

 

2. 수술전에 사정항목이 아닌 것은?

이름

Allergy

주민등록번호

혈액형

 

 

3. 마취전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활력증상

ASA class

치아상태

음주여부

 

4. 수술전 간호중재 항목이 아닌 것은?

환자교육

정맥확보

관장

ASA class

 

 

5. 수술후 자가간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심호흡

기침

PCA

통증조절

 

6. 수술동의서에 포함된 것이 아닌 것은?

수술의 목적과 효과

수술과정

합병증

실패율

 

7. 수술전 NPO는 몇시간 전부터인가?

6

12

18

24

 

8. 수술중 간호사정이 아닌 것은?

환자이름, 등록번호

수술전 투약의 반응

활력증상 측정

피부준비

 

9. 수술중 간호중재가 아닌 것은?

수술부위 피부준비

수술개수 관리

체중관리

수술체위

 

10. 수술직전 time out에서 수술의사가 대답하는 항목은?

환자이름, 등록번호

수술명

수술부위

사용예정인 특수장비

 

 

11. 수술중 저체온 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반사담요

가온수액

다리보온

순환수 의복

 

12. 수술후 간호사정 항목이 아닌 것은?

활력증상

피부색

의식상태

오심구토

대변양

 

13. 수술 후 간호중재가 아닌 것은?

심호흡

혈전예방

수분섭취

상처간호

답없음

 

15. 수술후 간호중재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강화 폐활량계를 사용한다.

기침을 하도록 한다.

다리운동은 1-2시간마다 한다.

5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16. 수술후 상처간호 중재가 아닌 것은?

 

Aseptic care

감염확인

수술부위 배액관 관리

소변량 확인

 

 

17. 수술후 통증관리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진통제

PCA

마사지

Penrose drain

 

18. 삼출물에서 확인할 사항이 아닌 것은?

냄새

농도

 

19. 다음 중 간호사 의존도가 가장 높은 목욕은?

통목욕

부분목욕

주머니 목욕

자가침상목욕

 

20. 무의식 대상자의 눈간호 방법중 적절한 것은?

2-4시간마다 마른 거즈를 눈에 적용

생리식염수로 적신 솜을 외안각에서 내안각 순으로 닦는다.

눈의 충혈, 삼출물을 사정한다.

인공눈물은 처방없이 사용해도 된다.

 

21. 상처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찢긴 상처로 비의도적인 사고 외상은?

타박상

찰과상

열상

자상

관통상

 

22. 상처 치유 합병증이 아닌 것은?

감염

출혈

열개

누공

답없음

 

23. 다음은 어떤 드레싱 재료를 설명하고 있는가?

친수성 미립자와 소수성 고무입자를 혼합하여 유연한 지지필름에 도포한 형태로 방수접착성 웨이퍼, 연고, 파우더로 되어있음

아이드로 콜로이드

거즈

투명필름

칼슘 알지네이트

 

24. 1도 화상, 1단계 욕창에 사용하는 드레싱 기구는?

아이드로 콜로이드

거즈

투명필름

칼슘 알지네이트

 

 

25. 간호사정에서 하는 일이 아닌 것은?

 

대상자의 특성확인

대상자의 강점 파악

대상자의 과거 수술력

대상자의 기능 부전의 존재

진단의 우선순위

 

26. 간호계획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행동수행자

행동시기

행동내용

행동방법

행동이유

 

27. 간호진단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는 것은?

전문직 간호사가 내린다.

허가된 건강상태만 진단한다.

한 대상자가 여러 개의 간호진단을 가질 수 있다.

수정할 수 없다.

 

28. 다음 중 간호진단이 잘못된 것은?

 

불충분한 수분섭취로 인한 변비

남편의 거절과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결여

빈맥으로 인한 대사율의 증가

복강경 수술로 인한 급성통증

 

 

29. 간호평가 단계에서 하는 일이 아닌 것은?

 

간호계획의 목표 대비 결과의 비교

간호중재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과정

문제 상태에 대한 결론 도출

간호계획의 지속, 수정, 종료 여부를 결정

간호활동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수집

 

30. 간호기록 작성 원칙 중 맞는 것은?

 

관찰한 내용은 개인적 의견을 덧붙여 기록한다.

사전에 미리 기록한다.

간호과정 중 중요한 활동 순으로 기록한다.

존댓말이나 존칭을 사용한다.

대상자의 행동이 나타난 시간, 장소, 내용, 이유를 기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