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전 간호중재>
환자교육
정맥확보
관장
<수술중 간호사정>
환자이름, 등록번호
수술전 투약의 반응
활력증상 측정
<수술중 간호중재>
수술부위 피부준비
수술개수 관리
수술체위
<수술후 간호사정>
활력증상
피부색
의식상태
대변양
<수술 후 간호중재>
심호흡
혈전예방
수분섭취
상처간호
강화 폐활량계를 사용한다.
기침을 하도록 한다.
5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연습문제>
1. 수술중 저체온 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반사담요
가온수액
다리보온
순환수 의복
2. 수술후 간호사정 항목이 아닌 것은?
활력증상
피부색
의식상태
오심구토
대변양
3. 마취후 회복상태 평가항목이 아닌 것은?
피부색
호흡
순환
활동
답없음
4. 수술후 간호진단 항목이 아닌 것은?
가스교환장애
급성통증위험성
감염의 위험성
오심
답없음
5. 수술 후 간호중재가 아닌 것은?
심호흡
혈전예방
수분섭취
상처간호
답없음
6. 수술후 간호중재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강화 폐활량계를 사용한다.
기침을 하도록 한다.
다리운동은 1-2시간마다 한다.
5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7. 수술후 영양상태 간호중재가 아닌 것은?
혈압과 I/O 측정
장음측정
복부촉진
물을 1L 복용
8. 수술후 상처간호 중재가 아닌 것은?
Aseptic care
감염확인
수술부위 배액관 관리
소변량 확인
9. 수술후 배액관 관리에 사용하는 기구는?
10. 수술후 통증관리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진통제
PCA
마사지
Penrose drain
11. 삼출물에서 확인할 사항이 아닌 것은?
색
양
냄새
농도
12. 수술후 DVT(심부정맥혈전증)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탄력스타킹이다.
맞음
틀림
13. 수술실에는 몇 명이 들어가는가?
14. 수술후 자가간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심호흡
기침
PCA
통증조절
15. 수술동의서에 포함된 것이 아닌 것은?
수술의 목적과 효과
수술과정
합병증
실패율
16. 수술전 NPO는 몇시간 전부터인가?
6
12
18
24
17. 수술중 간호사정이 아닌 것은?
환자이름, 등록번호
수술전 투약의 반응
활력증상 측정
피부준비
18. 수술중 간호진단이 아닌 것은?
피부통합성 장애
상해의 위험
체액부족의 위험
심리적 상태
19. 수술중 간호중재가 아닌 것은?
수술부위 피부준비
수술개수 관리
체중관리
수술체위
20. 수술부위는 어떻게 표시하나?
동그라미
X 표시
21. 수술직전 time out에서 수술의사가 대답하는 항목은?
환자이름, 등록번호
수술명
수술부위
사용예정인 특수장비
22. 수술중 개수관리 대상이 아닌 것은?
tape
수술기구
needle
특수장비
23. 수술중 개수관리는 누가 하는가?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소독간호사, 순환간호사 동시
24. 조직검사를 하는 수술은?
biopsy
exploratort laparotomy
laparoscopic subtotal gastrec
liver transeplanation
25. 다음 중 개복수술보다 회복이 빠른 수술은?
laparoscopic subtotal gastrec
total mastectomy
biopsy
bilateral total thyroidectomy
26. 마취 부위가 아닌 곳은?
척추
미추
신경
동맥내부위
27. 수술전에 사정항목이 아닌 것은?
이름
Allergy
주민등록번호
혈액형
28. 수술전 진단검사가 아닌 것은?
신장기능평가
전해질평가
영양상태평가
치아검사
29. ASA 신체상태 평가 등급중 수술에 관계없이 24시간 이내에
사망률이 50% 이상인 환자의 등급은?
30. 수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병을 가질 경우는 몇 등급부터인가?
31. 수술전 병동, 수술대기실, 수술실은 몇회 확인해야 하는가?
32. 마취전 평가 항목이 아닌 것은?
활력증상
ASA class
치아상태
음주여부
33. 수술전 간호중재 항목이 아닌 것은?
환자교육
정맥확보
관장
ASA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