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고괴사(Coagulative Necrosis)
• 가장 일반적
• 세포질의 가수분해 효소의 비활성이 특징
• 조직의 용해를 예방하고 형태와 강도를 유지
• 내부장기에 발생
ex.심장, 간, 콩팥
액화괴사 (Liquefactive Necrosis)
• 조직의 용해
• 반액체상태의 연화, 융해가 일어남
• 뇌경색에서 관찰가능
• 백혈구로 인해 응고괴사가 시간이 지난 후 일어남
•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으로 연조직을 농(고름)으로 변환
• 심근경색: 응고괴사이나 혈관이 막힌 4-6일 뒤에는 백
혈구의 유입으로 액화괴사로 변화
건락괴사 (Caseous Necrosis)
• 약간의 액화괴사를 동반한 응고괴사
• 결핵환자에게서 나타남
• 지연성 세포면역기전에 의해 발생
• 진균감염에서도 볼 수 있음
• 치즈덩어리, 밀가루 반죽과 같음
효소성 지방괴사 (Enzymatic Fat Necrosis)
•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에 의한 특별한 형태의 액화괴사
• 췌장 주변 지방조직에 국한됨
• 췌장에서 분비된 효소가 주변의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유리함
• 자유지방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calcium soap을 형성
괴저 (Gangrene) : 주로 사지에 발생함
• wet gangrene: 응고 조직에 2차 박테리아 감염
• dry gangrene: 괴사조직이 검게 마른 경우
석회화(calcification)
• dystrophic calcification : 괴사부위에서 관찰, 기능장애의 원인임
• metastatic calcification : 고칼슘혈증이 있는 경우 정상 조직에서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