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호통계 비율, 비, 기여도, 기여율, 퍼센트 포인트

728x90

기여율은 각 항목이 전체를 증감시키는 데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여율(%) = (개별 항목의 증감액 ÷ 전체 증감액) × 100

예를 들어 A, B, C의 점수가 과거에 비해 각각 10점, 20점, 30점씩 향상 되었다면 A의 기여율은 16.6%(=10÷60), B의 기여율은 33.3%(=20÷60)

기여도는 각 요소가 전체 증감률에 얼마나 기여하는 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기여도(% 포인트) = 특정 항목의 기여율 × 전체 증감률

예를 들어, 어떤 학급의 전체 평균점수가 전월대비 15% 상승하고 이 가운데 A의 성적 상승만으로 학급평균이 5% 상승하였다면,

A의 기여도는 75%p(5%×15%), 기여율은 100×(5%÷15%)= 33.3%

즉 기여도는 곱하기, 기여율은 나누기 입니다.

기여도를 구하려면 먼저 기여율을 알아야 합니다.

 

퍼센트(%)는 100을 기준으로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고

퍼센트 포인트(%p) 퍼센트 간 차이를 나타낸 것입니다.

(문제) 이자가 작년에 4%에서 올해 8%로 상승하였다면 작년에 비해 몇 % 상승하였는가?

증가율로 100% 상승했다고 할 수 있고, 작년에 비해 4%포인트(8%-4%) 상승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증감량을 볼 것인가? 아니면 증감율을 볼것인가?에 따라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를 사용합니다.

 

영어로는 비(ratio), 율(rate), 비율(proposition)

비(ratio)는 상대적 크기를 비교한 것입니다. a에 대한 b의 비는 b÷a

율(rate)은 특정기간 동안에 노출된 총 횟수를 말하며 천분율(‰)로 나타냅니다.

퍼센트를 백분율이라고 하고 천분율은 퍼밀(permil)이라고 하는데 아주 적은 비율을

나타낼때 씁니다. 0.0001 처럼. 그 보다 더 작은 비중을 차지할때에는 만분율을 쓰겠죠.

비율(proportion)은 전체에서 어떤 값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냅니다. 전체 인구 중 남자의 비율은 남자수 / (남자수 + 여자수)

간호통계 표나 그래프를 볼때 중요한 것이 성장률과 증가율 계산입니다.

감소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증감율이 맞겠죠.

맞춤법은 증감률이 아니라 증감율이 맞습니다.

기준년도가 아니라 기준연도가 맞습니다.

그러나 2021연도는 틀린것이고 2021년도가 맞습니다.